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21세기 경쟁력을 갖춘 인재양성 운남고등학교
21세기 경쟁력을 갖춘 인재양성 운남고등학교 unnam high school
21세기 경쟁력을 갖춘 인재양성 운남고등학교
21세기 경쟁력을 갖춘 인재양성 운남고등학교 unnam high school

Unnam High School

글자크기
크게
중간
작게
프린트

01

고교학점제 제도 개요

가. 학점제 정의

학생이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
운영 중점
  • (학생의 수요 반영) 선택과목에 대한 수요 조사, 수강신청 절차 운영 등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 구성
  • (진로·학업설계 지도) 학생들이 진로와 연계된 학업 계획을 수립하고 책임 있게 이수할 수 있도록 진로·학업설계 지도 체계화
  • (최소 학업성취 보장) 학생들이 과목 이수 기준에 도달하여 학점을 취득할 수 있도록 책임교육을 강화하여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 보장

학점제형 학사제도 운영 체계

교육과정

학생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

수강신청

진로 학업설계 지도를
통한 학생의 과목선택

수업

학생 참여형 수업,
미이수 예방 지도

평가

수업연계 과정중심평가,
성취평가 실시

이수

미이수

보충이수 지원

학점취득

이수기준
도달 시 학점 취득

졸업

학점 기준의
졸업요건 설정

  • 교·강사다과목 지도 전문성을 갖춘 교사 등을 포함한 교수자원의 탄력적 배치
  • 학교공간다양한 과목개설을 위한 교실과 홈베이스, 도서실 등 학생 자율 활동 공간 확보

02

고교학점제 본격시행 이후 학교의 변화 모습

고교학점제 학교 변화 모습
구분 기존의 학교 학점제 학교
진로 설계
  • (고1) 일반적 진로 활동
  • (고2) 내신 성적 중심
  • (고3) 성적별 진학 결정
화살표
  • (고1) 진로·적성 탐색·학업설계·수강신청
  • (고2) 과목 선택 및 수강·진로 구체화
  • (고3) 진로 기반 진학 준비, 졸업 이후 설계
    • ① 고1 학업설계 프로그램 운영 연구학교: 96.4%
    • ② 학업계획서 작성: 연구학교 41.6%, 일반학교28.7%
과목 선택
  • 제2외국어, 사회·과학 교과 내에서 일부 선택
화살표
  • 교과 구분 없이 다양한 과목 선택
    • ② 전교과(국영수 포함) 구분없이 과목 선택: 연구학교34.1%, 일반학교 10.1%
  • 편성 주요 기준: 대입 준비
    - 수능 출제과목 중심
    - 인문·자연 계열별 정해진 과목
화살표
  • 편성 주요 기준: 학생 수요
    - 학생 과목 수요조사 및 수강신청 결과
    - 학생·교사가 협업하여 과목을 설계
    • ① 과목 수요조사 및 수강신청: 연 평균 4회, 전문과목·고시외 과목: 연구학교 운영 이전 대비 70% 증가
      (교당 7.2과목→12.2과목, ´19시작 30교)
수업량
  • 교과 180단위
    - 선택과목당 5단위 내외 이수
    - 1단위: 17회 수업
화살표
  • 교과 174학점
    - 1학점: 16회 수업
    • ① 학생 선택과목 수: 연구학교 이전 대비 34.4% 증가(30.2과목→40.6과목)(´19시작 30교)
      연구학교 과목당 평균 단위수: 학교 지정: 4.05단위, 학생 선택: 2.07단위(´18시작 28교)
  • 창의적 체험활동 24단위
    - 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 주당 평균 4시간(학기당 4단위)
화살표
  • 창의적 체험활동 18학점
    - 진로탐구활동(교과·창체 융합 활동): 9학점
    - 동아리, 자치, 봉사 등: 144시간(9학점 분량)
    • ③ 영역별 중요도(5점 만점): (1위) 동아리(4.15), (2위)진로(3.81), (3위) 자율(3.43), (4위) 봉사(3.02)
졸업 요건
  • 과목당 별도 이수 기준 없음
화살표
  • 과목당 이수 기준 적용
    - 이수 기준: 출석률, 학업성취율
    • 이수 판정 시 학점 취득
    • 미이수 판정 시 '보충이수' 후 학점 취득
  • 각 학년 수업일수의 2/3 이상 출석 시 학교 졸업
화살표
  • 3년간 192학점 이상 취득 시 졸업
    (창의적 체험활동 144시간 포함)
평가
  • 상대평가 실시(석차등급 산출)
    - 동일과목 수강 학생 간 성적 경쟁 발생, 결과에 의한 변별
화살표
  • 성취평가제 적용(선택과목 석차등급 미산출)
    - 개인 성취 수준을 절대 기준에 의해 평가
    - 성취도별 맞춤형 수업 및 피드백 제공
수업 장소
  • 학교 교실, 오프라인 수업
    - (학생) 재적 중인 학교로 등교
    - (교사) 재직 학교 학생 지도
    - (수업 자료) 서책 교과서 중심
화살표
  • 지역사회, 온라인으로 수업 장소 확장
    - (학생) 인근학교, 지역사회 기관에서 일부 수업
    - (교사) 필요 시 타학교 학생도 포함하여 지도
    - (수업 자료) 지역사회, 온라인 등 다양한 학교 안팎 자원 활용
  • 단위학교별 운영
화살표
  • 학교간협력, 지역사회 연계 학습공동체
학교 생활
  • 주당 34시간
    - 매일 6~7교시씩 수업
    - 3년간 대부분 학교 내, 학급별 교실에서 생활
화살표
  • 주당 32시간
    - 일과 중 공강을 활용하여 인근학교 또는 지역사회 기관, 온라인 등에서 선택과목 수강
    • ① 공동교육과정 참여 학교: 85.7%
      공강 시간 운영 학교: 7.1%(평균 3.7시간)
  • 학급별 동일 시간표
화살표
  • 학생 개인별 시간표
    - 선택한 과목 수업 교실로 이동
  • 학생 거점 공간: 학급별 교실
화살표
  • 홈베이스, 도서관 등 교실경계 확장
    - 소규모 스터디룸, 카페형 학습공간 등 조성도서관 등 교실경계 확장
    - 도서관을 거점공간으로 활용, 다양한 학생 활동 지원
    • ① 교실외 학습공간 마련: 72.6%
      복도·로비 활용: 54.8%, 홈베이스: 71.4%
      가변형 교실: 38.1%, 도서실 리모델링 23.8%
교직문화
  • 주로 단일 자격 활용
    - 수능 대비 강의식 수업 중심
화살표
  • 복수전공·부전공 활성화, 복수 자격 활용
    - 다양한 현장 전문가 참여로 수업·체험 연계
  • 행정학급별 담임 배정
    - 담임역할: 행정학급 운영
화살표
  • 학생 소그룹별(예: 10여명) 담임 배정
    - 담임역할: 학생별 상담 강화
    1학년 상담 2~3학년 상담
    수강신청
    3개년 학업설계
    진로·학업설계 점검, 변경
    교육과정 이수 과정 관리
    • ① 교육과정 이수지도팀 구성 연구학교: 86.9%
    • ② 학업설계 주요 상담 교사(연구학교): 담임 72.7%
  • 교무·생활지도 중심 조직
    - 행정업무 중심 부서 배치
화살표
  • 교육과정
    - 교과별 전문적 학습 공동체 활성화중심 업무 조직
    - 과목별 교수학습계획서(Syllabus) 제공
    - 교육과정 자체 규정(구성원 합의)
    • ① 교육과정 전담부서 조직: 83.3%,
      교수학습계획서 제공: 53.6%,
      학교 자체 교육과정 규정 마련: 66.3%
고교체제
  • 학교 유형별 고교 서열 구조
    - 외고·국제고, 자사고, 일반고 순
    - 특목고 중심 수월성 교육
화살표
  • 각 학교의 특장점을 살린 일반고별 다양화
    - 일반고 전환 외고·자사고의 특성화된 교육과정 유지
    - 일반고 내 학생별 수월성 추구
  • ① 연구학교(일반계) 84교 운영 현황(김현미 외, 2020)
  • ② 연구학교(일반계) 90교, 일반학교 117교 교육과정 이수 지도 실태 분석(이주연 외, 2020)
  • ③ 연구·선도학교(일반계) 242교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현황(김영은 외, 2019)

03

고교학점제 추진 주요 일정(안)

고교학점제는 2022년 특성화고 도입 및 전체 일반계고에 대한 제도 부분 도입 (신입생부터 적용)을 거쳐 2025년부터 전체 고등학교에 본격 시행 예정

고교학점제 추진 주요 일정
'20 '21 '22 '23 '24 '25
도입 준비기
(마이스터고) 학점제 도입
(특성화고) 학점제 도입
(일반계고) 학점제 부분 도입
본격시행
교육
과정
2015
교육
과정
2015 교육과정
일부 개정
일부 개정된
교육과정
적용(고1~)
2022
교육
과정
기초연구 2022 교육과정
주요 사항 발표
2022 교육과정
개정
2022 교육과정
적용(고1~)
평가제도 진로선택과목
성취평가제
전 학년 적용
성취평가제 확대
도입(고1~)
대입제도 미래형 대입
논의 착수
'28학년도
대입방향 발표
법령 초중등교육법
개정안 발의
지침 학교 밖 교육
가이드라인
마련
최소학업성취
도달 지도 검토
미이수(Ⅰ) 도입
연구·선도
학교 확대
일반계고(1,680교) 모든 일반계고 및
직업계고
연구·선도학교
운영 경험 축적
과학고(20교)
외고·국제고·자사고(76교) 중 일반고 전환(예정) 학교
직업계고(520교)
특수학교(2교 이상
학점제형
학교공간
조성
494교
(~'20)
233교 549교 567교 - 학교 공간 조성
연차적 지원
(시도별
추진계획에 근거,
추후 변경 가능)
교·강사 교사 대상 '교육과정 설계 전문가' 양성(~'22, 1,600여명)
학점제 운영을 위해 교원 자격·임용·배치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