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고교학점제 제도 개요
학점제형 학사제도 운영 체계
교육과정
학생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
수강신청
진로 학업설계 지도를
통한 학생의 과목선택
수업
학생 참여형 수업,
미이수 예방 지도
평가
수업연계 과정중심평가,
성취평가 실시
이수
미이수
보충이수 지원
학점취득
이수기준
도달 시 학점 취득
졸업
학점 기준의
졸업요건 설정
02
고교학점제 본격시행 이후 학교의 변화 모습
구분 | 기존의 학교 | 학점제 학교 | ||||
---|---|---|---|---|---|---|
진로 설계 |
|
![]() |
|
|||
과목 선택 |
|
![]() |
|
|||
|
![]() |
|
||||
수업량 |
|
![]() |
|
|||
|
![]() |
|
||||
졸업 요건 |
|
![]() |
|
|||
|
![]() |
|
||||
평가 |
|
![]() |
|
|||
수업 장소 |
|
![]() |
|
|||
|
![]() |
|
||||
학교 생활 |
|
![]() |
|
|||
|
![]() |
|
||||
|
![]() |
|
||||
교직문화 |
|
![]() |
|
|||
|
![]() |
|
||||
|
![]() |
|
||||
고교체제 |
|
![]() |
|
03
고교학점제 추진 주요 일정(안)
고교학점제는 2022년 특성화고 도입 및 전체 일반계고에 대한 제도 부분 도입 (신입생부터 적용)을 거쳐 2025년부터 전체 고등학교에 본격 시행 예정
'20 | '21 | '22 | '23 | '24 | '25 | ||
---|---|---|---|---|---|---|---|
도입 준비기 (마이스터고) 학점제 도입 |
(특성화고) 학점제 도입 (일반계고) 학점제 부분 도입 |
본격시행 | |||||
교육 과정 |
2015 교육 과정 |
2015 교육과정 일부 개정 |
일부 개정된 교육과정 적용(고1~) |
||||
2022 교육 과정 |
기초연구 | 2022 교육과정 주요 사항 발표 |
2022 교육과정 개정 |
2022 교육과정 적용(고1~) |
|||
평가제도 | 진로선택과목 성취평가제 전 학년 적용 |
성취평가제 확대 도입(고1~) |
|||||
대입제도 | 미래형 대입 논의 착수 |
'28학년도 대입방향 발표 |
|||||
법령 | 초중등교육법 개정안 발의 |
||||||
지침 | 학교 밖 교육 가이드라인 마련 |
최소학업성취 도달 지도 검토 |
미이수(Ⅰ) 도입 | ||||
연구·선도 학교 확대 |
일반계고(1,680교) | 모든 일반계고 및 직업계고 연구·선도학교 운영 경험 축적 |
|||||
과학고(20교) | |||||||
외고·국제고·자사고(76교) 중 일반고 전환(예정) 학교 | |||||||
직업계고(520교) | |||||||
특수학교(2교 이상 | |||||||
학점제형 학교공간 조성 |
494교 (~'20) |
233교 | 549교 | 567교 | - | 학교 공간 조성 연차적 지원 (시도별 추진계획에 근거, 추후 변경 가능) |
|
교·강사 | 교사 대상 '교육과정 설계 전문가' 양성(~'22, 1,600여명) 학점제 운영을 위해 교원 자격·임용·배치 개선 |